데이터 통신 수업때 배웠던 것들을 복습하였다. 꽤 자주 수업때마다 기본 개념으로 나오니 필수적으로 정리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심화 공부를 위해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자격증을 취득하였다.

자세한 사항
OSI 7계층
TCP, UDP
IP란?
DNS란?
로드밸런서란?
- OSI 7계층이란? : OSI 7 계층은 인터넷 환경에서 통신하기 위해 네트워킹에 대한 표준을 7계층으로 나눈것, 물리계층, 데이터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전송계층, 세션계층, 표현계층, 응용계층
- 라우터와 스위치의 차이: 라우터는 Network 계층에서 다양한 네트워크를 연결하며, 스위치는 DataLink 계층에서 다양한 Device를 연결한다.
- 라우터와 게이트웨이 차이
- 라우터는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반면, 게이트웨이는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변환에 초점을 둠.
- 라우터는 같은 유형의 네트워크간의 연결을 관리하지만 게이트웨이는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가능.
- 게이트웨이 : 서로 다른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두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해주는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
- TCP/IP 4계층 : 네트워크 연결 계층(Network Access Layer), 인터넷 계층(Internet Layer),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애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
- OSI 7계층 쓰지않고 TCP/IP쓰는 이유 : 두 계층 모두 데이터 통신을 표현한 계층이긴 하지만 OSI 7계층은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계층과 역할을 정확하게 정의하려고 한 모델. 그에 반해 TCP/IP 4계층은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실무적이면서 프로토콜 중심으로 단순화된 모델이다.
- TCP, UDP에 대해서 설명 : TCP는 신뢰성 있는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3way 4way handshake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1대1로 통신 흐름제어와 혼잡제어가 이루어지고, UDP는 비연결형 프로토콜로 손상된 데이터에 대해서 재전송하지 않는다. 신뢰성이 낮지만 TCP보다 빨라서 스트리밍용 사용 1대 다수 가능
자세한 사항들 :https://www.crocus.co.kr/1362
- IP :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 망을 통해 패킷을 전달하는 프로토콜, 비연결성과 비신뢰성의 특징을 가지는데, 비연결성은 패킷을 보내는 길을 정하지 않는 것이고, 비신뢰성은 패킷의 완전한 전달을 보장하지 않는 것
- ICMP :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는 네트워크 내 장치가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문제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데이터가 대상에 도달하는지와 도달 시간이 적절한지를 확인하는 것. 따라서 ICMP는 네트워크가 데이터를 얼마나 잘 전송하는지 알 수 있는 오류 보고 프로세스 및 테스트의 중요한 측면. 그러나 분산형 서비스 거부(DDoS) 공격을 실행하는 데도 사용할 수 있다.
- IGMP : 멀티캐스트 그룹 관리를 담당하는 프로토콜로,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전달.
- ARP : IP 주소를 MAC 주소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필수적인 네트워크 프로토콜.
- RARP : MAC 주소를 IP 주소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DHCP가 그 기능을 대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