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자료: https://kotlinworld.com/91

IP 만을 이용한 통신의 한계점

IP Address와 IP만으로도 패킷의 전송이 가능한데 이러한 방식의 패킷 전송에는 문제점이 있다. 바로 비신뢰성과 비연결성이다.

비신뢰성

IP는 프로토콜일 뿐이고 보낸 데이터의 흐름에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보낸 패킷이 제대로 갔는지 보장하지 않는다. 즉, 순서가 있는 여러개의 데이터를 보냈을 때 받는 데이터가 같은 순서로 받아질 것이란 보장이 될 수 없다. 혹은 중간에 패킷을 가지고 있던 호스트가 강제종료되어 패킷이 소실될 경우 패킷이 목적지까지 가지 못하고 소실될 수 있다.

비연결성

마찬가지로,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연결 상태임을 확인하지 않고 전송하기 때문에 받을 대상(호스트)이 서비스 불능 상태여도 패킷이 전송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Untitled

한계점 극복

IP를 이용한 통신을 인터넷 계층의 통신이라고 한다. 이러한 한계점 극복을 위해 전송 계층에서 TCP, UDP라 불리는 프로토콜을 추가로 정의함으로써 이러한 IP의 한계점을 극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