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자료 : https://easymedia.net/Culture/EasyStory/index.asp?no=174&mode=view&IDX=1173&p=1 , https://www.smileshark.kr/post/what-is-a-load-balancer-a-comprehensive-guide-to-aws-load-balancer
로드밸런서(Load Balancer)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그룹 사이에 위치해 서버에 가해지는 트래픽을 여러 대의 서버에 고르게 분배하여 특정 서버의 부하를 덜어줍니다. 서버가 하나인데 많은 트래픽이 몰릴 경우 부하를 감당하지 못하고, 서버가 다운되어 서비스가 작동을 멈출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Scale up(스케일업)과 Scale out(스케일아웃) 방식 중 한 가지를 사용해 해결합니다.
**스케일 업(Scale Up)**은 기존 서버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이는 CPU나 메모리를 업그레이드하는 것과 같은 작업을 포함합니다.
**스케일 아웃(Scale Out)**은 트래픽이나 작업을 여러 대의 컴퓨터나 서버에 분산시켜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각각의 방법은 장단점이 있어 어떤 방법이 더 적합한지 판단해야 합니다.
L4 로드밸런서 : L4 계층에서 동작하며, 네트워크 계층이나 트랜스포트 계층의 정보를 바탕으로 로드밸런싱 합니다. IP 주소, 포트 번호, MAC 주소,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트래픽을 나눌 수 있습니다.
L7 로드밸런서 : 애플리케이션에서 로드밸런싱 하기 때문에 HTTP 헤더, 쿠키 같은 사용자의 요청을 기준으로 요청을 보다 세분화해 서버에 전달할 수 있습니다. 특정 패턴을 지닌 바이러스를 감지하고 비정상적인 트래픽을 필터링 할 수 있어 네트워크 보안 분야에서도 활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