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우저에 maps.google.com을 입력했을 때 일어나는 일들을 여덟 단계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 브라우저 주소창에 maps.google.com을 입력한다.
- 브라우저가 maps.google.com의 IP 주소를 찾기 위해 캐시에서 DNS 기록을 확인한다.
- 만약 요청한 URL(maps.google.com)이 캐시에 없다면, ISP의 DNS 서버가 DNS 쿼리로 maps.google.com을 호스팅하는 서버의 IP 주소를 찾는다.
- 브라우저가 해당 서버와 TCP 연결을 시작한다.
- 브라우저가 웹서버에 HTTP 요청을 보낸다.
-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보낸다.
- 서버가 HTTP 응답을 보낸다.
- 브라우저가 HTML 컨텐츠를 보여준다.
더 자세한 사항 : https://velog.io/@kkj53051000/도메인Domain과-DNS-정리
https://inpa.tistory.com/entry/WEB-🌐-DNS-개념-동작-완벽-이해-★-알기-쉽게-정리
-
쿠키
- 쿠키는 클라이언트 로컬에 저장되는 키 / 값이 포함된 데이터 파일입니다.
- 인증 유효시간을 명시할 수 있으며, 유효시간 동안은 브라우저가 종료되어도 인증이 유지됩니다.
- 쿠키는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로컬에 저장하고, 저장한 내용을 참조합니다.
- 클라이언트에 300개까지 쿠키 저장이 가능하며, 도메인당 20개의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하나의 쿠키값은 4KB까지 저장할 수 있습니다.
- Response Header에 Set-Cookie 속성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에 쿠키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쿠키는 따로 요청하지 않아도 브라우저가 Request시에 Request Header를 넣어서 자동으로 서버에 전송합니다.
-
쿠키 동작방식
-
클라이언트가 페이지 요청
-
서버에서 쿠키를 생성
-
HTTP 헤더에 쿠키를 포함시켜 응답
-
브라우저가 종료되어도 쿠키 유효시간동안 클라이언트에서 보관
-
같은 요청 시 HTTP 헤더에 쿠키를 함께 전송
-
이전 상태 정보를 변경 할 필요가 있다면, 쿠키를 업데이트 하여 변경된 쿠키를 HTTP 헤더에 포함시켜 응답
-
세션
- 세션은 쿠키를 기반하고 있지만, 사용자 정보를 브라우저에 저장하는 쿠키와 달리 세션은 서버 측에서 관리합니다.
-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를 구분하기 위해 세션 ID를 부여하며, 브라우저가 서버에 접속해서 종료될 때까지 인증상태를 유지합니다.
- 접속 시간에 제한을 두어 일정 시간 응답이 없으면 정보가 유지되지 않게 설정도 가능합니다.
- 사용자 정보를 서버에 두기 때문에 쿠키보다 보안에는 좋지만,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서버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게 됩니다.
- 동접자 수가 많은 웹 사이트인 경우, 서버에 과부하를 주게 됨으로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됩니다.
- 클라이언트 Request를 보내면, 서버의 엔진이 클라이언트에게 유일한 ID를 부여합니다. 이 ID가 세션ID 입니다.
-
세션 동작방식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 시 세션 ID를 발급 받음
-
클라이언트는 세션 ID에 대해 쿠키를 사용해서 저장하고 가지고 있음
-
클라리언트는 서버에 요청할 때, 이 쿠키의 세션 ID를 같이 서버에 전달해서 요청
-
서버는 세션 ID를 전달 받아서 별다른 작업없이 세션 ID로 세션에 있는 클라언트 정보를 가져와서 사용
-
클라이언트 정보를 가지고 서버 요청을 처리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응답